미국증시 47

미국증시, 연준위원 매파 발언에도 빅테크 중심으로 상승

17 일(월) 미국 증시는 올해 금리인하 1 회가 적절하다는 연준위원의 매파적 발언, 금리 상승에 하락 출발했으나, 마이크론, 브로드컴 등 AI 관련주 강세 지속되며 상승 마감 (다우 +0.49%, S&P500 +0.77%, 나스닥 +0.95%). 업종별로 경기소비재(+1.4%), IT(+1.2%), 산업재(+1.1%) 강세, 유틸리티(-1.1%), 부동산(-0.7%), 헬스케어(-0.2%) 약세.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준총재는 “12 월에 금리 인하를 기대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발언.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는 “미국 경제와 인플레이션 추세를 고려할 때 올 연말까지 한 차례만 금리를 낮추는 게 적절할 것으로 본다”고 언급. 최근 인플레이션 지표는 고무적이지만 더 많은 데이터가 필수적이..

일일미국증시 2024.06.18

미국증시, 고점 부담에도 PPI 하락 등으로 혼조세

13 일(목) 미국 증시는 정치 불확실성으로 인한 유럽 증시 약세(독일 -2.0%), 지수 고점 부담에도, 5 월 PPI 둔화, 브로드컴(+12.3%) 급등에 따른 AI 주 동반 강세 등에 힘입어 혼조세 마감(다우 -0.2%, S&P500 +0.2%, 나스닥 +0.3%). 업종별로는 기술(+1.4%), 부동산(+0.5%), 유틸리티(+0.2%) 등이 강세, 커뮤니케이션(-1.0%), 에너지(-0.9%), 산업재(-0.6%) 등이 약세. 브로드컴(+12.3%)은 이익 전망 상향 및 10 분의 1 주식 분할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급등.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어도비는 AI 관련 사업부문 호조 등으로 분기 실적과 가이던스를 상향한 영향으로 시간외에서 15%대 내외 급등 중. 미국의 5 월 헤드라인 PPI(..

일일미국증시 2024.06.14

미 증시, 애플 급등에 힘입어 다우 제외 신고가 경신

11 일(화) 미국 증시는 CPI, FOMC 를 앞둔 경계심리 유입, 유로존 정치 불확실성 및 유로화 약세가 촉발한 달러 강세 환경에 하락 출발한 이후 애플이 반등에 성공하며 낙폭 축소, 다우 제외 신고가 경신. (다우 -0.31%, S&P500 +0.27%, 나스닥 +0.88%) 업종별로 IT(+1.7%), 통신(+0.5%) 강세, 금융(-1.2%), 유틸리티(-0.6%), 산업재(-0.5%) 약세. WB 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1 월 2.4%에서 2.6%로 상향 조정. 미국는 강한 소비경기에 힘입어 올해 성장률을 지난 1 월 1.6%에서 2.5%로 큰폭 상향. 유로 존은 투자와 수출, 소비 둔화로 올해 0.7% 성장에 그치겠으나 내년에는 투자와 소비가 회복되면서 1.4% 성장할 것으..

일일미국증시 2024.06.12

05/30 달러, 국채금리 상승에 강세

FX: 엔화, 미국과의 금리차 확대에 약세   달러화는 미국 국채금리가 수요 부진 등에 상승하고 연준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한 불확실성과 금융시장 내 안전자산 선호가 높아지면서 주 요 통화 대비 상승  미국 국채금리는 7년물 입찰이 부진하면서 상승, 베이지북에서는 향후 경제 전망에 대해서는 다소 우려의 시각이 높아졌지만 현 경제 상황에 대해 완만한 확장세가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 미국 연준 통화정책 불확 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 국채금리가 상승하면서 뉴욕증시 하락 등 금융시장 내 안전자산 수요가 유입되며 달러는 상승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69.2원으로 3원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하나 미 달러화 강세 등을 반영해 소폭의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   Commodity: 국제유가, 투자심리 위..

환율전망 2024.05.30

미국 증시, 4 월 CPI 호재 등으로 신고가 경신

국내 휴장기간(14~15 일) 2 거래일간 미국 증시는 미 정부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대규모 관세 부, 4 월 소매판매 쇼크에도, 파월 의장의 금리인상 가능성 일축 발언, 4 월 CPI 이후 인플레이션 둔화 자신감 회복 등에 힘입어 신고가를 경신(14~15 일 2 거래일간 누적 등락률, 다우 +1.2%, S&P500 +1.7%, 나스닥 +2.2%).  15 일 발표된 미국 4 월 CPI 는 헤드라인이 3.4%(YoY)로 전월(3.5%)에 비해 하락했으며, 컨센(3.4%)에 부합. 코어도 3.6%(YoY)로 전월(3.8%)에 비해 둔화됐고, 컨센(3.6%)에도 부합. 14 일 발표된 미국의 4 월 생산자물가(PPI)는 헤드라인이 2.4%(YoY)로 전월(2.1%)에 비해 상승했으나, 컨센(2.4%)에는 부..

일일미국증시 2024.05.16

미국 증시, CPI 관망심리, 개별기업 이슈 등에 혼조세

13 일(월) 미국 증시는 CPI 발표를 앞둔 관망심리 유입, 금리 경로 불확실성, 미중 관세전쟁 우려 등에 제한적인 등락폭을 보인 가운데, 밈주식 게임스탑(74.4%) 폭등, 반도체 관련주 강세 등 개별 주식 이슈에 영향 받으며 혼조세. (다우 -0.21%, S&P500 - 0.02%, 나스닥 +0.29%) 업종별로 IT(+0.5%), 부동산(+0.3%), 유틸리티(0%) 강세, 산업재(-0.5%), 금융(-0.4%), 필수소비재(- 0.3%) 약세.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은 올해 1 분기 물가 지표가 우려스러웠다며 정책금리를 제약적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 "올해 1 분기에 인플레이션의 둔화가 약해졌으며, 그것은 나에게 우려의 원천"이라고 언급. 재닛옐런 미 재무장관은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 등에 ..

일일미국증시 2024.05.14

미국 증시, 연준의 매파 발언 등을 소화하며 혼조세 지속

8 일(수) 미국 증시는 실적시즌 후반부 진입 연준 위원들의 연이은 매파발언 등이 전반적인 주가 모멘텀을 제약한 가운데, 테슬라(-1.7%) 등 개별 이슈를 소화해가면서 혼조세 마감(다우 +0.4%, S&P500 -0.0%, 나스닥 -0.2%).  업종 별로는 유틸리티(+1.1%), 금융(+0.4%), 기술(+0.2%) 등이 강세, 부동산(-0.9%), 소재(-0.4%), 경기소비재(-0.4%) 등이 약세. 테슬라(-1.7%)은 미 연방 검찰이 오토파일럿 및 FSD 시스템과 관련해 소비자들이나 투자자들을 속였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는 소식에 약세. 우버(-5.7%)는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의 차량호출 둔화 등으로 1 분기 총 예약액, 매출액 등 전반적인 실적이 부진한 여파로 급락. 장 마감 후 실적을 ..

일일미국증시 2024.05.09

미국 증시 5 월 FOMC 결과를 소화하며 혼조세

1 일(수) 미국 증시는 3 월 ISM 제조업 PMI 부진, 5 월 FOMC 경계심리로 제한된 주가흐름을 보이며 출발한 가운데, 5 월 FOMC 에서의 파월의장 기자회견 전후 변동성이 확대되며 혼조세로 마감(나스닥 -0.3%, S&P500 -0.3%, 다우 +0.2%).  업종 별로는 유틸리티(+1.1%), 커뮤니케이션(+0.8%), 소재(+0.5%) 등이 강세, 에너지(-1.6%), 기술(-1.3%), 필수소비재(-0.6%) 등은  약세. 미국의 3 월 ISM 제조업 PMI 는 49.2 로 전월(50.3) 및 컨센(50.0)을 하회하는 부진한 수치를 기록. 신규주문(2 월 51.4 -> 3 월 49.1), 생산(54.6 -> 51.3)이 줄어든 반면, 고용(47.4 -> 48.6), 가격(55.8 ->..

일일미국증시 2024.05.02

미국 증시, 유가 및 미 국채금리 안정에 기술적 반등

22 일(월) 미국 증시는 M7 실적 발표를 앞두고 신규재료 부재, 이란-이스라엘 확전 우려 완화, 유가 및 미국채금리 하락 등에 저가매수세 유입되며 기술적 반등. (다우 +0.67%, S&P500 +0.87%, 나스닥 +1.11%). 전업종이 상승한 가운데, IT(+1.3%), 금융(+1.2%), 유틸리티(+1%) 상승폭이 가장 컸음. 3 월 시카고 연은 전미활동지수는 0.15(예상 0.07, 전월 0.09) 로 두달 연속 (+) 기록하며 확장세 유지. 생산과 소득, 고용과 실업, 소비와 주택, 판매 등 크게 네 가지 부문의 85 개 경제지표를 가중 평균하여 산출. 집계측은 네 가지 영역 중 두 가지가 전월 대비 상승세를 보였다고 언급. 미국 하원이 기존 제재 대상 이란산 석유를 고의로 취급하는 외국의..

일일미국증시 2024.04.23

미국 증시, ASML 실적 부진 등으로 약세

17 일(수) 미국 증시는 중동 긴장 완화에 따른 WTI 유가(-2.9%) 하락, 20 년물 입찰 호조 등에 따른 금리 하락에도, ASML(- 7.1%) 실적 부진으로 인한 엔비디아(-3.9%), 마이크론(-4.5%) 등 반도체주의 동반 약세 여파로 하락 마감(다우 -0.1%, S&P500 -0.6%, 나스닥 -1.1%). 업종별로는 유틸리티(+2.1%), 필수소비재(+0.5%), 소재(+0.2%) 등이 강세, 기술(-1.7%), 부동산(-0.8%), 경기소비재(-0.6%) 등이 약세. 네덜란드 반도체 업체 ASML(-7.1%)은 1 분기 매출 및 순이익이 각각 -27%(YoY), -40%(YoY)를 기록하는 등 중국의 수출 제한 여파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함에 따라 급락. 이 영향으로 미국 증시에서는 엔..

일일미국증시 2024.04.18